얄루는 일상 생활 속 디지털 무빙 이미지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예민하게 인지하며 동시에 작가로서 고유의 언어와 세계관을 통한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확장하는 작업을 해왔다. 프로젝션 맵핑 조형, 미디어 파사드, VR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비디오 설치와 화이트 큐브에서 거대한 창고까지 다양한 장소와 상황에 따른 대형 프로젝션 맵핑 조형시리즈물을 선보이며 비디오를 이용한 실험적인 스토리텔링을 고민하며 탐구하고 있다.

Since the recent pandemic, Yaloo spen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in Seoul. This experience helped her initializing Underwater Trilogy - Homo Paulinella the Lab, Pickled City, and Birthday Garden. All three chapters of the trilogy project capture a unique sense of contemporariness proper to East Asian metropolis, where centuries of time and the dramatic pulses of our planet in the Anthropocene can be accessed in a small alley.

미디어 작가 얄루는 시카고 예술 대학교(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비디오 아트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미국 헤드랜드 아트센터, 일본 후쿠오카 아시안미술관, 캐나다 라반데 비디오, 캐나다 웨스턴 프론트 소사이어티, 미국 베미스 스튜디오 아트센터, 미국 버몬트 스튜디오 아트센터의 펠로우쉽 등에 선정된 바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 뱅크의 린 블루멘탈 기념장학프로그램, 뉴욕 AHL 재단 시각 예술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캐나다 마니프 퀘벡 예술 비엔날레 (Manif d’Art), 벨기에 이미지 퍼시블 비엔날레 (Biennale de L’Image Possible)등 다양한 비엔날레를 포함 영국 최대 미디어 아트기관 팩트 리버풀(FACT Liverpool) 네덜란드 참여 등 다수의 개인 및 단체전에 참여하여 세계를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Yaloo earned BFA and MFA in video art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She has been selected for fully funded international residencies such as Zer01ne and Asia Culture Center in Korea, the Fukuoka Asian Art Museum in Japan, Western Front and La Bande Video in Canada, the Headlands Art Center and Bemis Studio Art Center in USA. She was also awarded a Lyn Blumenthal Memorial Scholarship by Video Data Bank and won a Gold Prize in visual arts from the AHL Foundation in New York. Last year, she was part of a duo show at FACT Liverpool, UK.

연도 Year
프로젝트 Project
미디엄 Media
위치 Location
2020
호모폴리넬라 더 랩: 짜라투스투라여, 슬퍼하지 말아요 Homo Paulinella, Photosynthesizing Post Human Scenario
3채널 비디오, 사운드, 비디오 맵핑 프로젝션 조형 3-channel video, sound, video mapping projection sculpture
플렛폼 L, 서울, 한국 Platform-L, Seoul, South Korea

지구 태초의 시기인 선캄브리아대에서부터 현재까지 존재해 온 해조류는 어떻게 이 긴 시간을 생존해 온 것일까?
지구 모든 생명체 중 최초로 암수 성별 구분을 지닌 생명체가 다시마 라는 걸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미역과 인간은 서로 얼마나 다르고 동떨어져 있는 생명체일까?
최초의 인간은 누구였으며, 가장 마지막 인간은 과연 누가될까?
인간은... 영원할 수 있을까?

본 전시, <더 랩; 짜라투스트라여, 슬퍼하지말아요> 는 호모 폴리넬라 긴 여정의 출발선을 끊는 첫발자국과 같은 전시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호모 폴리넬라의 이야기는 더 복잡하고 더 본격적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조만간 이어질 다음 작업은 좀 더 많은 사람이, 그 다음 작업은 더더욱 많은 사람들이 보고 우리 작업에 대해 이야기하고 화자될 수 있었으면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본 전시를 지원해 주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께도 다시 감사의 말을 전한다. 아르코 창작 지원금과, 플랫폼엘 공간지원이 없었다면 호모 폴리넬라 이야기를 제대로 한 번 펼쳐보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다음 이야기에도 계속 지속적인 관심 가져 주었으면 더욱 좋겠다. 빠른 시일내에 다음 이야기로 관객분들께 다시 인사드릴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다리며 이 도록을 통해 전시의 여운을 다시나마 느껴 보실 수 있으시길 바란다.





지구 태초의 시기인 선캄브리아대에서부터 현재까지 존재해 온 해조류는 어떻게 이 긴 시간을 생존해 온 것일까?
지구 모든 생명체 중 최초로 암수 성별 구분을 지닌 생명체가 다시마 라는 걸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미역과 인간은 서로 얼마나 다르고 동떨어져 있는 생명체일까?
최초의 인간은 누구였으며, 가장 마지막 인간은 과연 누가될까?
인간은... 영원할 수 있을까?

사실 얄루 작가가 제일 처음 미역국을 끓이는 마른 미역을 글루건으로 종이에 조각조각 붙여가면서 꼴라쥬 작업을 시작한 것은 이미 15년 전도 더 된 일이다. 그러더니 한 10년 즘 전 미역국이라며 디지털 수묵담채 풍경화를 비디오로 만들더니 (Seaweed Pond, 2011) 2019년엔 1년 내내 미역을 끌어안고서 일본, 미국, 한국을 오가며 미역 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부터 미역 모션 센서 비디오, 미역 VR, 미역 프로젝션 맵핑, 미역 프린팅, 미역 패턴의 재킷과 바지, 미역 유리컵, 미역 마스크팩, 미역 스티커까지 주구장창 만들어내는 걸 보면서 (Garden of Seaweed, 2019) ‘우리 얄루, 미역 참 좋아하는 구나….’ 생각했다.

얄루 작가의 오랜 친구이자 그녀 작업의 성실한 팬으로서 그녀의 작업에 열광하고 응원하며서도 한 번도 그녀와 협업을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초기 얄루 작가의 비디오에 퍼포먼서로 참여한 소식적 창피한 기억은 살짝 덮어두도록 하자) 얄루작가 작업과 미역이 얼마나 찰떡궁합이었는지 얄루작가의 미역 비디오가 그만, 나의 상상의 나래를 자극하고 말았던 것이다. 그렇게 얄루 작가의 미역 비디오에 영감을 받아 거칠고 어설픈 호모 폴리넬라 설정 배경이 탄생하게 되었다. 얄루 작가가 총감독이자 기획자가 되서 전체 색깔을 정하고 방향을 만들면서 작업을 이끌고 나갔고, 조형을 맡아줄 노정주 작가님을 꼬드겨서 합류를 설득하고, 거기에 음악을 맡아줄 오세륜 감독님을 모시고, 오세륜 감독님이 또 예츠비 작가님를 추가로 초대해 주고, 자문을 맡아주실 국립수산과학원의 유현일 박사님이 선뜻 도움을 지원해 주시고, 팀에 책자 제작을 위한 김보배 디자이너, 곽은정 디자이너까지 발벗고 도와주고, 전체 프로젝트 진행을 맡아주실 김혜인 큐레이터 님까지 합쳐지면서 이렇게 호모 폴리넬라 프로젝트가 시작될 수 있었다.

삼면이 바다이고 가장 다양한 해조류를 식용으로 소비하는 문화권 중 하나에 사는 우리에게도 해조류는 생소한 부분이 많은 종이다. 미래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환경 문제의 해결책으로, 해양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주거지로, 미래 식용 섭취제 주요 자원으로, 합성섬유를 대신할 직물 조직으로, 심지어 해양 주도권을 둘러싼 정치적 용도로서도, 최근 들어 해조류의 가능성을 향한 전문가 집단의 관심은 어마어마하게 급증했다. 하지만 일반인인 우리에게 해조류는 아직도 지식적 측면뿐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무언가 알 수 없는 거리감이 느껴진다.

하지만 그저 의식의 흐름대로 미역에 접근해 보면 어떨까?
“바다 속의 미역은 물결에 흔들려 춤추는 것만 같다. 춤추는 미역.
춤은 누가 뭐라해도 아이돌이지. 미역이 케이팝 춤을 춘다면? 근데 미역이 어떻게 안무를 익히지? 미역이 지능이 있다면. 아니아니, 아예 인간이 미역이 된다면?”

호모 폴리넬라는 호모 사피엔스가 자기가 원해서 해조류와의 결합을 선택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종으로 변화한 신인류를 일컫는 명칭이다. 호모 폴리넬라는 고도의 지적 능력을 지녔으며 스스로 광합성을 통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고 체내에서 산소-이산화탄소의 생산과 소비의 균형을 완벽히 맞춰서 더 이상 음식 섭취도, 호흡도 필요하지 않는 생명체이다. 그들은 애정을 갈구하고 과학 장비를 이용하여 예술적 창조활동을 주로 하며 증오, 공포, 공격성 등의 부정적 요소를 제거한 존재로 자연을 사랑하고 모두와 더불어 살아가는 미래 인류이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약 4만년에서 3만년 전, 후기구석시대 시작과 함께 등장하였고 신앙활동, 예술활동, 경제활동을 하였다. 인류는 호모 사피엔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로데시엔시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빌리스, 호모 날레디 등의 다른 종을 거쳐 총 30만년 정도를 생존해왔다. 그렇다면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이후에 인류는 어떻게 될까? 인간은 더 이상 고립되지 않고 자연선택이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적 진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존재한다. 그러면 인간은 이제 완전한 생명체가 된 것일까? 우리는 여기에 고인물처럼 이제 정체할 것인가?

시간의 흐름 안에 정체하는 유전자란 없는 것이기에 환경을 자기에 맞게 변화시켜 버린 인간은 스스로 인위적 진화를 진행시켜야 한다는 트랜스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 등의 이야기도 이미 어쩌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렇게해서 진화한 인류의 어디까지를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 하는 질문도 나온다. 유전자 조작을 한 인간, 기계와 결합을 한 인간 등 과연 인간의 바운더리는 어디까지로 규정이 될 수 있을까? 인간을 인간 스스로의 손으로 더이상은 인간이 아닌 존재로 만든다는, 어찌 보면 극단적인 이 사변적 시나리오는 예상치 못한 극단적 시간을 살고 있는 지금의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게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하고 충분히 물어봄 직한 가치 있는 질문이라 생각하였다.

2020년, 나름 미래라고 생각했던 시기에 판데믹을 겪으면서 전세계적 동양인 차별, 개인의 불편함을 조금도 참기 싫어서 정부 규제를 어기는 사람들, 판데믹을 대하는 숱한 음모론, 놀고 싶다며 싶다고 대규모로 벌이는 시위 등, 인간의 이기심이 극명히 표면화 되었다. 새삼스럽지도 않지만 더해지는 인간에 대한 실망감과, 이런 일이 왜 벌어진 것일까?? 인간은 지구에 얼마나 유해한 동물일까? 과연 인간이 지구와 공존할 수 있는가? 등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현 시점에서 현 세대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식으로 던지고 싶었다. 미래 사회를 그려내는 것으로 현시대를 되돌아보게 했던 SF 베이스의 미래 예측 소설들, 타임머신, 용감한 신세계 등의 위대한 이야기에 비할 수는 없겠지만 여러 작가들이 모여 각자의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숨결을 불어넣어 다양한 세대의 다양한 관객들에게 다양한 메시지를 던질 수 있었던 것은 무척이나 보람차고 의미있는 일이었다. 얄루 작가의 감각적이고 개성강한 디지털 비쥬얼과 노정주 작가의 세밀하고 디테일한 철 조형물, 오세륜 감독과 예츠비 작가의 세련되고 트렌디한 사운드, 투박하지만 이야기를 끌고가는 김훈예 작가의 스토리, 그 투박한 이야기를 한결 산뜻하게 편집해 준 곽은정 디자이너가 각각 서로 다른 색깔과 특징을 보여주면서도 자기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좋은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본 전시, <더 랩; 짜라투스트라여, 슬퍼하지말아요> 는 호모 폴리넬라 긴 여정의 출발선을 끊는 첫발자국과 같은 전시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호모 폴리넬라의 이야기는 더 복잡하고 더 본격적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조만간 이어질 다음 작업은 좀 더 많은 사람이, 그 다음 작업은 더더욱 많은 사람들이 보고 우리 작업에 대해 이야기하고 화자될 수 있었으면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본 전시를 지원해 주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께도 다시 감사의 말을 전한다. 아르코 창작 지원금과, 플랫폼엘 공간지원이 없었다면 호모 폴리넬라 이야기를 제대로 한 번 펼쳐보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다음 이야기에도 계속 지속적인 관심 가져 주었으면 더욱 좋겠다. 빠른 시일내에 다음 이야기로 관객분들께 다시 인사드릴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다리며 이 도록을 통해 전시의 여운을 다시나마 느껴 보실 수 있으시길 바란다.

전시서문 ㅣ 김훈예



제작: 얄루, 김훈예
비디오: 얄루
시나리오: 김훈예
설치: 노정주
사운드: 오세륜, Yetsuby
자문: 유현일
디자인: 곽은정, 김보배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김혜인
전시전경 촬영: 최원석, 김용선

*본 전시는, 실험적 시도를 하는 우수한 다원예술 기획의 발굴 지원사업인 ‘플랫폼엘 라이브아츠 프로그램2020(PLAP 2020)’에 선정된 프로그램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을 통해 선보였다.

-What could possibly cause Homo Sapiens to willingly turn themselves into seaweed?
Do YOU wish to be a seaweed-human as well?-

is a multi-disciplinary art exhibition that incorporates natural science, visual art, sound art and literature. A speculative scenario of a post-human species called Homo paulinella, who has the photosynthesis ability to self-produce oxygen and energy, is depicted in a poetic and whimsical virtual experience through visual, sound and other design elements.

-What could possibly cause Homo Sapiens to willingly turn themselves into seaweed?
Do YOU wish to be a seaweed-human as well?-

is a multi-disciplinary art exhibition that incorporates natural science, visual art, sound art and literature. A speculative scenario of a post-human species called Homo paulinella, who has the photosynthesis ability to self-produce oxygen and energy, is depicted in a poetic and whimsical virtual experience through visual, sound and other design elements.

The exhibitions delivers a playful and humorous interpretation of the apocalyptic dystopia/utopia as the result of Anthropocene via excessive and exaggerated sensory experience. Highly emotional, even childish monologue of the future human species asks what essentially defines a being as a human. In this turbulent, unpredictable time, the very basic question of where we, as a species, are going seems to be a more relevant question than ever. Would we be able to save the humanity by turning ourselves into seaweed? We invite you to this first introductory adventure of what is to be a long, reflective quest of celebrating the humanity.

Producer: Yaloo , Hounyeh Kim
Video art: Yaloo
Story writer: Hounyeh Kim
Installation: Jungjoo Ro
Music and Sound: Seiryun Oh, Yetsuby
Science consulting: Hyunil Yu
Design: Eunjung Kwak, Bobae Kim
Project coordinator: Hyein Kim
Ducumentation: Choi Wonseok, Kim Youngseon

This module of Homo Paulinella the Lab was showcased in Platform L Contemporary Art Center (Korea), Purdue University Gallery (USA), the Horse (UK), LAD (Korea), Busan Education Center (Korea) and Korean Culture Center (Canada), through 2020-222. It is scheduled for an exhibition at Elektra Gallery (Canada) in March, 2023.

This exhibition is funded by Korea Art Council & Platform L Contemporary Art Center